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VM)

자체 컴퓨팅 리소스와 OS를 갖춘 가상 컴퓨팅 환경을 가상 머신이라 부른다.
각 가상 머신들은 같은 서버 위에 있을지라도 별도의 시스템처럼 동작한다.
생성된 가상 머신을 게스트 서버, 가상 머신들이 구동되는 서버를 호스트 서버라고 부른다.
가상화 기술 등장 이후, 한 개의 물리 서버를 두 개 이상의 가상 서버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서버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리 서버에 가상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한데 한번 살펴보자.
- 가상 서버 생성 요청을 하이퍼바이저에 전달.
- 하이퍼바이저가 새로운 가상 서버(VM) 생성.
- 물리 서버의 컴퓨팅 리소스(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각 가상 서버에 할당.
- 각 가상 서버에 운영체제(OS) 설치.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VM) 특징
가상 머신 은 격리된 환경을 제공하므로 가상 머신 내에서 어떤 대상이 실행되든 다른 시스템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각 가상 머신 은 독립적인 OS를 갖기 때문에 단일 서버에서 Windows, MAC, Linux 등 다양한 OS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물리적 서버의 자원을 여러 가상 머신 이 나눠서 사용하기 때문에 가상 머신의 수가 증가할수록 컴퓨팅 리소스(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 경쟁이 발생한다. 특히 가상 머신이 많은 경우 하이퍼바이저가 리소스를 분배하는 데 한계가 있어 개별 가상 머신의 성능이 저하된다.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가상 머신 생성을 위해서는 하이퍼바이저가 필요한데, 하이퍼바이저는 가상화 계층(Virtualization Layer)을 구현해 주는 소프트웨어다.

가상화 구조에서는 하드웨어와 가상 머신이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 위에서 여러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각 가상 머신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해 주며 가상 머신들이 요청하는 작업을 처리해 주는 매니저 역할을 수행한다.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 (Bare-Metal Hypervisor)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 위에 직접 설치되어 게스트 OS를 관리한다.
마치 OS를 설치하듯 하이퍼바이저를 하드웨어에 설치한다.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 (Hosted Hypervisor)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는 Host OS 위에서 소프트웨어로 동작한다.
하드웨어에 이미 설치된 호스트 OS 위에서 VM을 관리한다.
출처
가상 머신이란? VM의 용도 및 이점 | Google Cloud
https://cloud.google.com/learn/what-is-a-virtual-machine?hl=ko
cloud.google.com
가상화란? 개념, 가상화 기술, 서버 가상화에 대한 포괄적인 안내
가상화란? 개념, 가상화 기술, 서버 가상화에 대한 포괄적인 안내
가상화란 물리적인 리소스를 가상 환경으로 분리하여 서버 가상화, 하드웨어 가상화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며, 장점은 리소스를 최적화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www.redhat.com
'Dev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Docker 정리, 근데 좀 많이 긴 (3) | 2024.11.04 |
---|---|
『Network』 Internet Gateway와 NAT Gateway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24.11.01 |
『Network』 Public IP와 Private IP는 왜 분리될까? (0) | 2024.10.25 |
『Network』 Virtual Private Cloud와 Private Subnet, Public Subnet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24.10.24 |
『Network』 L4 / L7 Load Balancer 차이점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