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68

『Spring MVC』 메시지, 국제화 Spring MVC에서 메시지 관리와 국제화(i18n)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메시지 관리의 필요성개발 과정에서 UI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품명"이라는 레이블을 "상품이름"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여러 곳에서 하드 코딩된 텍스트를 일일이 수정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시지 관리 기능을 사용하여 모든 텍스트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지 파일 생성 및 적용메시지 파일 생성메시지 관리를 위해 messages.properties 파일을 생성하고 키-값 쌍으로 텍스트를 관리한다. 국제화를 위한 메시지 파일 생성다국어 지원을 위해 각 언어별로 메시지 파일을 관리한다.  Spring에서 메시지 소스 .. 2024. 11. 26.
『Network』 한 번에 끝내는 DNS 인터넷을 사용할 때 www.naver.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주소창에 입력한다. 하지만 실제로 컴퓨터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이 아닌 IP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도메인 이름이 IP 주소로 변환될까?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다.  DNS란 무엇인가?DNS는 분산 구조형 데이터베이스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다. 마치 전화번호부에서 사람의 이름으로 전화번호를 찾는 것과 비슷하다.  도메인 네임의 구조와 관리도메인 네임은 트리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 영역(Zone) 별로 구분되어 분산 관리된다.  예를 들어, www.naver.com에서 com은 최상위 도메인(TLD)이고 naver는 그 하위 도메인이다. 마지막으.. 2024. 11. 26.
『Spring Boot』 Spring Boot Annotation 정리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여 RESTful API를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을 알아보자. 특히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한 애노테이션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때에도 내부 동작 원리나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게 된 배경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Deep Dive 하기 전에 40개 정도만 가볍게 한번 훑어보자.  @RestController @Controller와 @ResponseBody를 결합한 애노테이션으로 컨트롤러의 메서드들이 JSON 형식의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한다.   @ResponseBody 메서드의 반환 값을 HTTP 응답 본문으로 변환한다. @RestController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RequestMapping 클래스나 메서드 수준에.. 2024. 11. 25.
『Java』 Java 8, Stream 기본 Java 8에서 도입된 스트림(Stream)은 컬렉션 데이터를 필터링, 변환, 집계 등의 기능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스트림을 사용하면 선언적이고 간결한 코드를 작성하여 데이터 처리 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스트림의 생성부터 가공, 그리고 결과 생성까지 단계별로 알아보자.   생성하기배열 스트림 생성 배열을 스트림으로 변환하려면 Arrays.stream() 또는 Stream.of()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컬렉션 스트림 생성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은 기본적으로 stream() 메서드를 제공하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빈 스트림 생성 빈 스트림은 Stream.empty()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Stream.builder()수동으로 개별 요소를 추가하여 스트림을 생성.. 2024. 11. 24.
『Java』 내부 클래스, 정적 중첩 클래스, 지역 클래스, 익명 클래스 Java에서 중첩 클래스(Nested Class)는 다른 클래스 내부에 정의된 클래스를 의미한다.  중첩 클래스의 종류중첩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된다.내부 클래스(Inner Class)정적 중첩 클래스(Static Nested Class)지역 클래스(Method Local Inner Class)익명 클래스(Anonymous Class)각각의 중첩 클래스는 사용하는 방법과 특징이 다르므로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자.  내부 클래스 (Inner Class)내부 클래스는 외부 클래스의 멤버로 선언되는 클래스이며 Non-Static Nested Class라고도 한다.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종속적이다.외부 클래스의 모든 멤버(인스턴스 변수 및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다.외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 2024. 11. 24.
『Network』 User Mode와 Kernel Mode 운영 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User Mode (사용자 모드)와 Kernel Mode (커널 모드)라는 두 가지 실행 모드를 제공한다. 이 두 모드는 네트워크 통신의 OSI 7 계층 모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User Mode와 OSI 상위 계층 (5~7 계층)세션 계층(5 계층), 표현 계층(6 계층), 응용 계층(7 계층)은 주로 사용자 모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된다.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하드웨어에 접근하지 않고, 시스템 콜이나 API를 통해 커널 모드에 요청을 전달한다. Kernel Mode와 OSI 하위 계층 (1~4 계층)물리 계층(1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2 계층)은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2024. 11. 23.
『Java』 스레드는 어떻게 메모리를 공유하는가? 스레드는 Stack을 제외한 Heap 메모리와 Method Area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각 스레드는 자기 자신의 Stack Memory를 가지고 있으며, 스레드끼리 Stack Memory 공간을 침범할 수 없다. 인스턴스 변수나 정적 변수는 스레드가 공유할 수 있으나, 메서드 내 지역 변수는 Thread Stack에서 사용되므로 다른 스레드와 공유할 수 없다.   로컬 변수는 메서드 내부에 선언된 변수처럼 Stack에 일시적으로 할당된 후 사용하고 소멸되는 변수를 말한다.인스턴스 변수는 소멸하지 않는 한 모든 스레드에서 접근이 가능하므로 값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값을 읽을 수 있다. Heap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참조값을 통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4. 11. 22.
『Java』 HashMap은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가 HashMap은 자주 사용하는 컬렉션 중 하나다. 키와 값을 쌍으로 저장하며 데이터의 삽입, 삭제, 검색이 평균적으로 O(1) 시간 복잡도를 갖는 자료구조다. HashMap의 내부 동작 원리와 해시 충돌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HashMap 개념HashMap은 키(Key)와 값(Value)이 1:1로 매핑되는 자료구조다. 여기서 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지만 값은 중복될 수 있다.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며 각 배열의 요소를 버킷(bucket)이라고 한다.키를 해시 함수에 통과시켜 해시 값을 얻고 해시 값을 이용해 버킷 배열의 인덱스를 결정한다.일반적으로 해시 함수는 hashcode() % M 형태로 계산되기에 서로 다른 키가 동일한 인덱스를 가리키는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 발생.. 2024. 11. 22.
『Java』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상속이란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확장하여 기능을 재사용하고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컴포지션은 기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새로운 클래스의 필드로 포함하여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속이 항상 나쁜 선택일까?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상속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같은 프로그래머나 팀이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를 모두 통제할 수 있을 때상위 클래스가 상속을 고려하여 잘 설계되고 문서화되어 있을 때명확한 is-a 관계가 있을 때 (예: Dog는 Animal이다)   상속의 문제점, 캡슐화의 파괴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숨기고 공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원칙이다. 상속을 사용할 때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내부 구현에 의존하게 .. 2024.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