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2 『Network』 User Mode와 Kernel Mode 운영 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User Mode (사용자 모드)와 Kernel Mode (커널 모드)라는 두 가지 실행 모드를 제공한다. 이 두 모드는 네트워크 통신의 OSI 7 계층 모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User Mode와 OSI 상위 계층 (5~7 계층)세션 계층(5 계층), 표현 계층(6 계층), 응용 계층(7 계층)은 주로 사용자 모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된다.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하드웨어에 접근하지 않고, 시스템 콜이나 API를 통해 커널 모드에 요청을 전달한다. Kernel Mode와 OSI 하위 계층 (1~4 계층)물리 계층(1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2 계층)은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2024. 11. 23. 『Java』 스레드는 어떻게 메모리를 공유하는가? 스레드는 Stack을 제외한 Heap 메모리와 Method Area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각 스레드는 자기 자신의 Stack Memory를 가지고 있으며, 스레드끼리 Stack Memory 공간을 침범할 수 없다. 인스턴스 변수나 정적 변수는 스레드가 공유할 수 있으나, 메서드 내 지역 변수는 Thread Stack에서 사용되므로 다른 스레드와 공유할 수 없다. 로컬 변수는 메서드 내부에 선언된 변수처럼 Stack에 일시적으로 할당된 후 사용하고 소멸되는 변수를 말한다.인스턴스 변수는 소멸하지 않는 한 모든 스레드에서 접근이 가능하므로 값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값을 읽을 수 있다. Heap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참조값을 통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4. 11. 22. 『Java』 HashMap은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가 HashMap은 자주 사용하는 컬렉션 중 하나다. 키와 값을 쌍으로 저장하며 데이터의 삽입, 삭제, 검색이 평균적으로 O(1) 시간 복잡도를 갖는 자료구조다. HashMap의 내부 동작 원리와 해시 충돌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HashMap 개념HashMap은 키(Key)와 값(Value)이 1:1로 매핑되는 자료구조다. 여기서 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지만 값은 중복될 수 있다.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며 각 배열의 요소를 버킷(bucket)이라고 한다.키를 해시 함수에 통과시켜 해시 값을 얻고 해시 값을 이용해 버킷 배열의 인덱스를 결정한다.일반적으로 해시 함수는 hashcode() % M 형태로 계산되기에 서로 다른 키가 동일한 인덱스를 가리키는 해시 충돌(hash collision)이 발생.. 2024. 11. 22. 『Java』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상속이란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확장하여 기능을 재사용하고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컴포지션은 기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새로운 클래스의 필드로 포함하여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속이 항상 나쁜 선택일까?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상속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같은 프로그래머나 팀이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를 모두 통제할 수 있을 때상위 클래스가 상속을 고려하여 잘 설계되고 문서화되어 있을 때명확한 is-a 관계가 있을 때 (예: Dog는 Animal이다) 상속의 문제점, 캡슐화의 파괴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숨기고 공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원칙이다. 상속을 사용할 때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의 내부 구현에 의존하게 .. 2024. 11. 20. 『Java』 for-each 문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무엇인가? for-each 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클래스들은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iterator() 메서드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요소들을 순회할 수 있다. for-each for-each 문은 배열이나 컬렉션과 같은 반복 가능한 객체를 순회(iterate) 하기 위한 간단한 문법을 제공한다. Iterable Interface for-each 문을 사용하려면 대상 객체가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 Iterable 인터페이스는 java.lang 패키지에 위치하며 제네릭 인터페이스로 Iterator iterator() 메서드를 선언하고 있다. Iterable Interface 구조iterator() 메서.. 2024. 11. 19. 『Java』 생성자와 static 블록은 무엇이 다를까? 생성자와 static 블록은 객체와 클래스의 초기화를 담당하는 요소다. 이 둘은 초기화 시점과 적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으며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static 블록클래스 로딩 시점에 한 번만 실행되며 클래스 수준에서의 초기화 작업에 사용된다.주로 static 변수의 초기화에 활용된다.인스턴스 생성과는 무관하게 클래스가 메모리에 로드될 때 실행된다. 위 예제에서 static 블록은 MyClass가 로딩될 때 실행되며 staticVariable을 초기화한다. 생성자객체가 생성될 때마다 호출된다.인스턴스 변수의 초기화나 객체 생성 시 필요한 설정을 담당하며, 오버로딩을 통해 다양한 생성자를 정의할 수 있다.반환 타입이 없으며 클래스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다.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될 때마다 .. 2024. 11. 19. 『Spring Core』 Bean Scopes Bean Scope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빈 스코프란 빈이 생성되고 유지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빈이 얼마나 오래, 어떤 범위에서 유지될지를 결정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빈 스코프를 제공한다. 싱글톤 (Singleton)기본 스코프로, 스프링 컨테이너 시작부터 종료까지 빈이 유지된다. 프로토타입 (Prototype)요청 시마다 새로운 빈 인스턴스를 생성하며,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컨테이너가 관리한다. 웹 관련 스코프request: HTTP 요청이 시작되고 끝날 때까지 빈이 유지된다.session: 세션이 활성화되는 동안 빈이 유지된다.application: 서블릿 컨텍스트와 동일한 범위로 빈이 유지된다. Singleton Scope 싱글톤 스코프는 스프링의 기본 스코프이므로 별도의 설정 없이.. 2024. 11. 19. 『DataBase』 Oracle SQL 중급 문법 Oracle SQL 기초 문법에 이어서 Oracle 중급 문법을 살펴보자.기초 문법에서 Oracle에서 제공해 주는 기본적인 내장 함수들 몇 개를 살펴봤다. 중급 문법에서는 실질적으로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법에 대해 알아보자. GROUP BY GROUP BY 절은 쿼리 결과를 지정한 표현식(expression)에 따라 그룹으로 묶어 집계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 각 그룹에 대해 하나의 행을 반환하며 집계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그룹별 통계 값을 얻을 수 있다. department_id별로 그룹화한 후 HAVING 절을 사용하여 평균 급여가 5000 이상 인 부서만 선택한다. GROUP BY 확장 기능 Oracle SQL은 그룹화 및 집계 작업을 더욱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ROLLUP,.. 2024. 11. 18. 『DataBase』 Oracle SQL 기초 문법 MySQL, MariaDB만 사용해 왔는데 어쩌다 보니 Oracle을 사용하게 되었다.다음에 진행할 프로젝트에서 ORM을 사용할지 Mapper를 사용할지 결정된 게 없기 때문에 우선 Oracle 기초 문법부터 살펴보자. SELECT문과 별칭 사용DISTINCT 키워드를 사용하여 조회 결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할 수 있다.AS 키워드를 사용하여 열이나 테이블에 별칭을 지정할 수 있다. 날짜 함수NEXT_DAY(date, char): 주어진 날짜 이후의 다음 특정 요일의 날짜를 반환한다.ADD_MONTHS(date, n): 주어진 날짜에 n개월을 더하거나 뺀다.MONTHS_BETWEEN(date1, date2): 두 날짜 사이의 개월 수를 계산한다. 조건문(CASE) 사용 CASE 문은 SQL에서 조건.. 2024. 11. 1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