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n2 『Spring Boot』 Spring Boot Annotation 정리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여 RESTful API를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을 알아보자. 특히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한 애노테이션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때에도 내부 동작 원리나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게 된 배경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Deep Dive 하기 전에 40개 정도만 가볍게 한번 훑어보자. @RestController @Controller와 @ResponseBody를 결합한 애노테이션으로 컨트롤러의 메서드들이 JSON 형식의 데이터를 반환하도록 한다. @ResponseBody 메서드의 반환 값을 HTTP 응답 본문으로 변환한다. @RestController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RequestMapping 클래스나 메서드 수준에.. 2024. 11. 25. 『Spring Core』 Bean LifeCycle Spring에서 왜 Bean 등록이 필요할까?Spring에서 Bean은 Spring의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된다. 빈을 등록함으로써 Spring Container는 빈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필요한 곳에 의존성 주입(DI)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쉽게 생각해서 의존성 주입과 같은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체를 Spring Bean으로 등록하여 Spring Container에서 관리하도록 위임해야 한다. Spring Bean LifeCycleSpring Container 생성 -> Bean 생성 -> 의존성 주입 -> 초기화 콜백 -> Bean 사용 -> 소멸 전 Callback -> Spring 종료 Bean LifeCycle Callback .. 2024. 11. 7. 이전 1 다음